본문 바로가기
검안과 안질환

난시 교정 수술 종류

by 꿈꾸는 검안사 2025. 3. 20.
반응형

난시는 불규칙한 모양의 각막이나 렌즈로 인해 발생하는 일반적인 굴절 이상으로, 흐릿하거나 왜곡된 시야를 유발합니다. 안경과 콘택트 렌즈는 난시를 교정할 수 있지만, 수술은 영구적인 시력 교정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장기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난시 교정 수술, 그 이점, 회복 중에 예상되는 사항을 살펴봅니다.


1. 레이저 기반 난시 교정 수술

1.1 라식(레이저 보조 각막절삭술)

  • 레이저를 사용하여 각막을 재형성하고 굴절 이상을 교정합니다.
  • 경도~중도 난시에 적합
  • 빠른 회복, 대부분의 환자는 24시간 이내에 시력이 개선됨

1.2 PRK(굴절교정각막절제술)

  • 레이저로 재형성하기 전에 가장 바깥쪽 각막층을 제거합니다.
  • 각막이 얇거나 눈이 건조한 분들에게 추천
  • LASIK 수술에 비해 회복기간이 길다(며칠에서 몇 주)

1.3 라섹(레이저 상피 각막절삭술)

  • 각막 상피를 보존하는 PRK의 변형
  • 각막이 얇거나 불규칙한 환자에게 유익합니다.
  • 회복 시간은 며칠에서 일주일까지 다양합니다.

1.4 SMILE (소절개 렌티큘 추출)

  • 작은 렌즈 모양의 각막 조직을 제거하는 최소 침습적 시술
  • 경도~중도 난시에 적합
  • PRK에 비해 빠른 치유와 LASIK에 비해 건조증 위험 낮음

2. 비레이저 난시 교정 수술

2.1 토릭 인공 수정체(IOL) 이식

  • 백내장 수술 중 난시를 교정하고 눈의 자연 수정체를 교체하는 데 사용됩니다.
  • 백내장과 난시가 모두 있는 개인에게 적합합니다.
  •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 없이도 영구적인 시력 교정

2.2 파키아 인공 수정체(ICL) 이식

  • 자연 수정체를 제거하지 않고 눈 안에 인공 수정체를 이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 고도 난시 또는 얇은 각막을 가진 개인에게 이상적입니다.
  • 가역적이고 장기적인 교정을 제공합니다

2.3 변연 이완 절개(LRI)

  • 각막 주변에 작은 절개를 가해 각막 모양을 이완시킵니다.
  • 종종 백내장 수술이나 기타 굴절 수술과 함께 시행됩니다.
  • 경도에서 중도 난시에 덜 침습적이지만 효과적입니다.

2.4 전도성 각막이식술(CK)

  • 각막을 재형성하기 위해 고주파 에너지를 사용합니다.
  • 노안 및 저난시를 위한 일시적 교정을 주로 합니다.
  • 장기적 효과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덜 일반적으로 사용됨

3. 올바른 수술 선택

고려해야 할 요소:

  • 난시의 정도와 전반적인 눈 건강
  • 각막 두께 및 모양
  • 라이프스타일과 시각적 요구
  • 위험 감수성과 예상 회복 시간

상담 및 수술 전 평가:

  • 적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종합적인 눈 검사
  • 위험, 이점 및 현실적인 결과에 대한 토론
  • 개인의 필요에 따른 맞춤형 치료 계획

4. 회복 및 수술 후 관리

일반 복구 타임라인:

  • 수술 후 며칠 동안 초기 불편함
  • 일반적으로 며칠에서 몇 주 내에 시력이 개선됩니다.
  • 완전한 안정화에는 몇 달이 걸릴 수 있습니다.

수술 후 관리 팁:

  • 회복 기간 동안 눈을 비비거나 격렬한 신체 활동을 피하세요.
  • 감염 및 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처방된 눈약을 사용하십시오.
  • 정기 검진을 위해 안과 의사를 방문하세요.

결론

난시 교정 수술은 장기적인 시력 개선을 위한 다양한 옵션을 제공합니다. LASIK 및 PRK와 같은 레이저 기반 시술이든 인공 수정체 이식이든, 올바른 수술을 선택하는 것은 개인의 눈 건강과 라이프스타일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집니다. 안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은 선명하고 안정적인 시력을 얻기 위한 가장 적합한 접근 방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합니다.

반응형

'검안과 안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구건조증 원인과 해결책  (0) 2025.03.20
노안 증상과 치료법  (0) 2025.03.20
근시 원인과 예방법  (0) 2025.03.20
안경 렌즈 코팅 종류  (0) 2025.03.20
시력 저하 원인과 예방  (0) 2025.03.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