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안과 안질환

안경 도수 높은 사람을 위한 렌즈 두께 비교|도수와 디자인을 모두 잡는 렌즈 선택법

by 꿈꾸는 검안사 2025. 5. 10.
반응형

“도수가 높다 보니 안경알이 너무 두꺼워요.”
“안경이 무겁고 눈도 작아 보여서 불편한데, 얇은 렌즈는 없을까요?”

고도근시 또는 고도난시로 인해 도수가 높은 안경을 사용하는 분들은 늘 렌즈 두께와 무게, 디자인 문제로 고민하곤 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소재와 굴절률에 따라 시력 보정 효과는 유지하면서도 얇고 가벼운 렌즈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안경 도수 높은 사람들을 위한 렌즈 두께 비교, 굴절률별 차이점, 추천 렌즈 유형 등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 왜 도수가 높으면 렌즈가 두꺼울까?

안경 렌즈는 도수가 높을수록 더 많은 빛을 굴절시켜야 하며, 그만큼 곡률이 커지고 중심부 또는 가장자리가 두꺼워집니다.

  • 근시(마이너스 렌즈): 중심은 얇고, 가장자리가 두꺼움
  • 원시(플러스 렌즈): 중심이 두껍고, 가장자리는 얇음

특히 -6.00D 이상의 고도근시라면 일반 플라스틱 렌즈로는 두께와 무게가 상당히 증가하고, 미관상 불편함도 커집니다.


🔍 렌즈 두께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

요소설명
도수 절대 도수가 높을수록 두꺼워짐
굴절률 굴절률이 높을수록 같은 도수에서도 얇아짐
프레임 크기 큰 안경테일수록 렌즈 가장자리가 두꺼워짐
PD(동공거리) 맞춤 정렬이 안 되면 왜곡 발생 가능
가공 방식 중심 위치나 테두리 처리 방식에 따라 차이
 

📏 굴절률별 렌즈 두께 비교

굴절률은 렌즈 소재가 빛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꺾는지를 나타냅니다.
굴절률이 높을수록 얇고 가벼운 렌즈 제작이 가능합니다.

1. 1.50 굴절률 (일반 플라스틱 렌즈)

  • 저렴하지만, 고도수에 매우 부적합
  • 두껍고 무거우며 왜곡 발생 가능
  • 추천 대상: ±2.00D 이하의 저도수 사용자

2. 1.56 굴절률 (기본 기능성 렌즈)

  • 도수가 높을수록 렌즈 가장자리가 쉽게 두꺼워짐
  • 약간의 얇은 효과 있으나 고도수에는 여전히 부족
  • 추천 대상: ±3.00D~±4.00D 정도

3. 1.60 굴절률 (고굴절 렌즈 입문형)

  • 기본보다 20~25% 얇은 렌즈
  • 강도, UV 차단, 코팅 안정성 양호
  • 추천 대상: ±4.00D~±6.00D

4. 1.67 굴절률 (고도수 렌즈 추천)

  • 기존 대비 30% 이상 얇고 가벼움
  • 고도근시에도 착용감과 디자인 모두 개선
  • 추천 대상: -6.00D 이상 고도근시 사용자

5. 1.74 굴절률 (초고굴절 렌즈)

  • 현존 가장 얇은 렌즈 중 하나
  • 매우 높은 도수도 슬림하게 커버 가능
  • 가격은 높지만 외형·무게 모두 우수
  • 추천 대상: -8.00D 이상, 외모에 민감한 사용자

🎯 렌즈 두께 비교 예시 (도수 -8.00 기준)

굴절률렌즈 가장자리 두께렌즈 무게시각적 미용성
1.50 약 7~8mm 무거움 눈 작아 보임
1.60 약 5~6mm 중간 개선
1.67 약 4~5mm 가벼움 양호
1.74 약 3~4mm 매우 가벼움 우수
 

※ 안경테 크기나 가공 방식에 따라 다소 차이 있음


🧠 고도수 렌즈 선택 시 고려사항

1. ✔️ 프레임 선택

  • 작고 라운드한 프레임이 렌즈 두께를 줄이기에 유리
  • 풀프레임 금속테보다 하프림 또는 플라스틱 안경테가 두께를 감추기 좋음

2. ✔️ 비구면(Aspheric) 렌즈

  • 렌즈 중심에서 주변으로의 왜곡을 줄여줌
  • 눈이 작아 보이는 현상을 완화
  • 얇고 플랫한 디자인으로 미용적 장점

3. ✔️ 적절한 코팅

  • 멀티코팅,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
  • 두께만 신경 쓸 것이 아니라 눈 보호와 편안함도 중요

✅ 고도수 안경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조합

  • 도수 -6.00 이하: 1.60 굴절률 + 비구면 렌즈
  • 도수 -6.00 ~ -8.00: 1.67 굴절률 + 비구면 + 소형 프레임
  • 도수 -8.00 이상: 1.74 굴절률 + 비구면 + 블루라이트 코팅

💡 도수가 같아도 프레임과 가공 방식에 따라 실제 착용감은 크게 달라집니다.


📝 마무리 요약

안경 도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두껍고 무거운 렌즈를 감수해야 하는 시대는 아닙니다.
굴절률이 높은 렌즈와 비구면 디자인을 활용하면 얇고 가벼우면서도 시력 교정 효과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 굴절률이 높을수록 렌즈는 얇아진다
  • 프레임 크기, 가공 방식, 렌즈 설계도 두께에 큰 영향
  • 고도수일수록 1.67 이상 굴절률 렌즈가 권장됨

👓 안경은 단순한 시력 보정 도구가 아니라 일상 속 아이덴티티입니다. 두께와 외형, 편안함까지 고려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