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수가 높다 보니 안경알이 너무 두꺼워요.”
“안경이 무겁고 눈도 작아 보여서 불편한데, 얇은 렌즈는 없을까요?”
고도근시 또는 고도난시로 인해 도수가 높은 안경을 사용하는 분들은 늘 렌즈 두께와 무게, 디자인 문제로 고민하곤 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소재와 굴절률에 따라 시력 보정 효과는 유지하면서도 얇고 가벼운 렌즈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안경 도수 높은 사람들을 위한 렌즈 두께 비교, 굴절률별 차이점, 추천 렌즈 유형 등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 왜 도수가 높으면 렌즈가 두꺼울까?
안경 렌즈는 도수가 높을수록 더 많은 빛을 굴절시켜야 하며, 그만큼 곡률이 커지고 중심부 또는 가장자리가 두꺼워집니다.
- 근시(마이너스 렌즈): 중심은 얇고, 가장자리가 두꺼움
- 원시(플러스 렌즈): 중심이 두껍고, 가장자리는 얇음
특히 -6.00D 이상의 고도근시라면 일반 플라스틱 렌즈로는 두께와 무게가 상당히 증가하고, 미관상 불편함도 커집니다.
🔍 렌즈 두께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
요소설명
도수 | 절대 도수가 높을수록 두꺼워짐 |
굴절률 | 굴절률이 높을수록 같은 도수에서도 얇아짐 |
프레임 크기 | 큰 안경테일수록 렌즈 가장자리가 두꺼워짐 |
PD(동공거리) | 맞춤 정렬이 안 되면 왜곡 발생 가능 |
가공 방식 | 중심 위치나 테두리 처리 방식에 따라 차이 |
📏 굴절률별 렌즈 두께 비교
굴절률은 렌즈 소재가 빛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꺾는지를 나타냅니다.
굴절률이 높을수록 얇고 가벼운 렌즈 제작이 가능합니다.
1. 1.50 굴절률 (일반 플라스틱 렌즈)
- 저렴하지만, 고도수에 매우 부적합
- 두껍고 무거우며 왜곡 발생 가능
- 추천 대상: ±2.00D 이하의 저도수 사용자
2. 1.56 굴절률 (기본 기능성 렌즈)
- 도수가 높을수록 렌즈 가장자리가 쉽게 두꺼워짐
- 약간의 얇은 효과 있으나 고도수에는 여전히 부족
- 추천 대상: ±3.00D~±4.00D 정도
3. 1.60 굴절률 (고굴절 렌즈 입문형)
- 기본보다 20~25% 얇은 렌즈
- 강도, UV 차단, 코팅 안정성 양호
- 추천 대상: ±4.00D~±6.00D
4. 1.67 굴절률 (고도수 렌즈 추천)
- 기존 대비 30% 이상 얇고 가벼움
- 고도근시에도 착용감과 디자인 모두 개선
- 추천 대상: -6.00D 이상 고도근시 사용자
5. 1.74 굴절률 (초고굴절 렌즈)
- 현존 가장 얇은 렌즈 중 하나
- 매우 높은 도수도 슬림하게 커버 가능
- 가격은 높지만 외형·무게 모두 우수
- 추천 대상: -8.00D 이상, 외모에 민감한 사용자
🎯 렌즈 두께 비교 예시 (도수 -8.00 기준)
굴절률렌즈 가장자리 두께렌즈 무게시각적 미용성
1.50 | 약 7~8mm | 무거움 | 눈 작아 보임 |
1.60 | 약 5~6mm | 중간 | 개선 |
1.67 | 약 4~5mm | 가벼움 | 양호 |
1.74 | 약 3~4mm | 매우 가벼움 | 우수 |
※ 안경테 크기나 가공 방식에 따라 다소 차이 있음
🧠 고도수 렌즈 선택 시 고려사항
1. ✔️ 프레임 선택
- 작고 라운드한 프레임이 렌즈 두께를 줄이기에 유리
- 풀프레임 금속테보다 하프림 또는 플라스틱 안경테가 두께를 감추기 좋음
2. ✔️ 비구면(Aspheric) 렌즈
- 렌즈 중심에서 주변으로의 왜곡을 줄여줌
- 눈이 작아 보이는 현상을 완화
- 얇고 플랫한 디자인으로 미용적 장점
3. ✔️ 적절한 코팅
- 멀티코팅,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
- 두께만 신경 쓸 것이 아니라 눈 보호와 편안함도 중요
✅ 고도수 안경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조합
- 도수 -6.00 이하: 1.60 굴절률 + 비구면 렌즈
- 도수 -6.00 ~ -8.00: 1.67 굴절률 + 비구면 + 소형 프레임
- 도수 -8.00 이상: 1.74 굴절률 + 비구면 + 블루라이트 코팅
💡 도수가 같아도 프레임과 가공 방식에 따라 실제 착용감은 크게 달라집니다.
📝 마무리 요약
안경 도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두껍고 무거운 렌즈를 감수해야 하는 시대는 아닙니다.
굴절률이 높은 렌즈와 비구면 디자인을 활용하면 얇고 가벼우면서도 시력 교정 효과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 굴절률이 높을수록 렌즈는 얇아진다
- 프레임 크기, 가공 방식, 렌즈 설계도 두께에 큰 영향
- 고도수일수록 1.67 이상 굴절률 렌즈가 권장됨
👓 안경은 단순한 시력 보정 도구가 아니라 일상 속 아이덴티티입니다. 두께와 외형, 편안함까지 고려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검안과 안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과 질환과 뇌 건강의 깊은 연관성: 눈이 보내는 뇌의 경고 신호 (1) | 2025.05.10 |
---|---|
콘택트렌즈 장기 착용, 각막 손상을 막는 7가지 핵심 예방법 (0) | 2025.05.10 |
어린이 시력 보호를 위한 독서 조명 추천|눈 건강을 위한 조명 선택법 (0) | 2025.05.10 |
안구건조증과 계절별 관리법 차이|계절에 맞는 효과적인 관리법 (0) | 2025.05.09 |
노안 진행 속도를 늦추는 루테인 섭취법|노화와 눈 건강을 지키는 팁 (0) | 2025.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