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녹내장이란?
녹내장(Glaucoma)은 눈의 시신경이 손상되어 시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이는 주로 눈 안의 압력(안압, intraocular pressure)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면서 발생하지만, 정상 안압에서도 시신경 손상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녹내장의 원인
녹내장은 안구 내부에서 생성된 방수(aqueous humor)가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할 때 안압이 상승하면서 시신경이 손상되어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방수 유출 문제 - 방수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으면 안압이 상승하여 시신경이 손상됩니다.
- 유전적 요인 - 가족력이 있는 경우 녹내장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 고혈압 및 당뇨병 - 혈관 건강이 저하되면 녹내장 발병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스테로이드 사용 - 장기적인 스테로이드 사용은 안압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눈 외상 - 과거의 외상으로 인해 방수 배출 경로가 손상되면 녹내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녹내장의 종류
- 개방각 녹내장(Open-angle Glaucoma)
- 가장 흔한 형태로, 방수 배출 통로가 서서히 막히면서 시신경이 점진적으로 손상됩니다.
- 증상이 초기에는 거의 없으며 시야가 점차 좁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 폐쇄각 녹내장(Angle-closure Glaucoma)
- 갑작스럽게 안압이 급격히 상승하여 극심한 통증과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응급 질환입니다.
- 두통, 구토, 안구 통증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정상 안압 녹내장(Normal-tension Glaucoma)
- 안압이 정상 범위 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신경이 손상되는 형태입니다.
- 시신경 혈류 저하, 자율신경계 이상 등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녹내장의 초기 증상
녹내장은 ‘조용한 시력 도둑’이라고 불릴 만큼 초기 증상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녹내장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주변 시야가 흐려짐(시야 결손)
- 야간 시력 저하
- 빛 번짐과 눈부심 증가
- 시야의 특정 부분이 잘 보이지 않음
- 극심한 안구 통증과 두통(폐쇄각 녹내장일 경우)
- 구토 및 메스꺼움(폐쇄각 녹내장일 경우)
녹내장의 진단 방법
녹내장은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요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안압 검사(Tonometry) - 눈의 압력을 측정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 시야 검사(Visual Field Test) - 시야 손실 여부를 검사합니다.
- 안저 검사(Fundus Examination) - 시신경 손상 여부를 평가합니다.
- 각막 두께 측정(Pachymetry) - 각막 두께가 얇을 경우 녹내장 위험이 높을 수 있습니다.
- 광간섭 단층촬영(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시신경 섬유층을 정밀 분석하여 녹내장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녹내장의 치료 방법
녹내장은 완치가 어렵지만, 조기 치료를 통해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주요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약물 치료
- 점안액(안약):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으로, 안압을 낮추거나 방수 배출을 촉진합니다.
- 베타 차단제: 방수 생성을 억제하여 안압을 낮춥니다.
-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방수 배출을 촉진하여 안압을 조절합니다.
2. 레이저 치료
-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SLT,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방수 배출로를 확장시켜 안압을 낮추는 방법입니다.
- 레이저 홍채 절개술(Laser Peripheral Iridotomy): 폐쇄각 녹내장 환자를 위한 치료법으로, 홍채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 방수 흐름을 개선합니다.
3. 수술 치료
- 섬유주 절제술(Trabeculectomy): 인공 배출구를 만들어 방수를 원활히 배출하도록 하는 수술입니다.
- 녹내장 임플란트 삽입술: 미세한 튜브를 삽입하여 안압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녹내장 예방 및 관리법
- 정기적인 안과 검진 - 40세 이상은 1~2년에 한 번, 녹내장 가족력이 있는 경우 매년 안과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 눈에 좋은 영양소 섭취 - 비타민 A, C, E 및 오메가-3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세요.
- 적절한 운동 -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가벼운 운동은 시신경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 카페인과 나트륨 섭취 줄이기 - 과도한 카페인과 짠 음식은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용 제한 - 장시간 화면을 응시하면 눈의 피로가 증가하므로 적절한 휴식을 취하세요.
결론
녹내장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과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시력 저하를 늦추고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녹내장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적극적인 관리로 눈 건강을 지켜나가세요.
반응형
'검안과 안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반변성이란? 예방이 가능할까? (2) | 2025.02.17 |
---|---|
백내장이란? 원인과 치료 방법 (6) | 2025.02.17 |
밤에 시력이 나빠지는 이유 (0) | 2025.02.17 |
난시 교정 방법과 치료 (0) | 2025.02.15 |
색맹 테스트: 어떻게 이루어질까? (0) | 2025.02.15 |
댓글